드라마 × 공간

〈굿파트너〉 – 가정법률사무소, 이혼을 둘러싼 한국 사회의 변화된 풍경

view0920-1 2025. 7. 14. 23:06

드라마 ‘굿파트너’의 핵심 공간: 가정법률사무소의 구조적 기능

24년도 인기드라마 <굿파트너>는 이혼 전문 변호사들이 일하는 로펌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 사무실은 단순한 직장이 아닌 한국 사회의 이혼 현실과 시선을 압축적으로 담아내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드라마 속 법률사무소는 감정을 쏟는 곳이 아니라 전략과 결정을 다루는 중립적 장소로 기능하며, 특히 상담실과 회의실은 단정한 가구 배치와 최소한의 장식으로 감정적 개입을 차단하고 실무 중심의 대화에 집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적 구성은 실제 이혼상담 환경의 구조와 유사하며, 현대 사회에서 이혼은 더 이상 극적인 파탄의 상징이 아닌 삶의 조정과 재구성이라는 관점으로 접근되고 있다는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lt;굿파트너&gt;변호사사무실

사적 감정이 아닌 공적 판단이 이뤄지는 상담의 장소

<굿파트너>에 주인공들이 이혼상담하는드라마 ‘굿파트너’의 핵심 공간: 가정법률사무소의 구조적 기능

24년도 인기드라마 <굿파트너>는 이혼 전문 변호사들이 일하는 로펌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 사무실은 단순한 직장이 아닌 한국 사회의 이혼 현실과 시선을 압축적으로 담아내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드라마 속 법률사무소는 감정을 쏟는 곳이 아니라 전략과 결정을 다루는 중립적 장소로 기능하며, 특히 상담실과 회의실은 단정한 가구 배치와 최소한의 장식으로 감정적 개입을 차단하고 실무 중심의 대화에 집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적 구성은 실제 이혼상담 환경의 구조와 유사하며, 현대 사회에서 이혼은 더 이상 극적인 파탄의 상징이 아닌 삶의 조정과 재구성이라는 관점으로 접근되고 있다는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변화하는 이혼 인식: 낙인에서 선택으로

과거에는 이혼이 사회적 낙인이나 개인의 결함으로 여겨졌지만, <굿파트너>는 이혼을 ‘관계의 종료’로써 합리화된 선택으로 재구성하고 있으며, 이 같은 인식은 드라마 속 공간 설계와 대사 흐름을 통해 구체화된다. 가정법률사무소의 인테리어는 차가운 금속이나 단단한 원목 등 중립적이면서도 신뢰를 주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이혼이라는 주제를 더 이상 부정적으로 다루지 않고 현실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현재 사회의 시선을 상징한다. 특히 2030 세대 의뢰인의 등장은 젊은 세대일수록 이혼에 대해 실용적이고 비정서적인 접근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 같은 변화는 실제 한국 사회의 이혼율 증가 추세와 감정적 회피보다는 권리 중심의 상담 증가라는 통계와도 연결된다.

 

한국의 이혼문화, 공간이 먼저 말해주기 시작했다

이혼을 둘러싼 한국의 사회문화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드라마 <굿파트너>는 이러한 흐름을 공간을 통해 시각적으로 설득하고 있다. 기존 드라마들이 이혼을 감정의 파국으로 묘사했다면, 이 작품은 이혼을 사회적 계약 관계의 정리라는 관점으로 전환시키며, 그 배경 공간인 가정법률사무소는 바로 그 인식 변화를 말없이 대변한다. 상담실에 놓인 테이블 하나, 문 너머로 들리지 않는 목소리 하나까지도 이 공간은 개인의 상처를 수습하는 곳이 아닌 선택 이후의 현실을 정리하는 장소로 재정의된다. 이는 최근 실제 가정법률사무소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단순한 법률 조력에서 나아가 감정적 조정과 실무적 이행에 이르기까지 훨씬 넓어진 것과 맞닿아 있으며, 이제 이혼은 더 이상 비정상적인 선택이 아니라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지는 구조로 전환되고 있다는 흐름을 공간적으로 증명해낸다.